가상화폐 거래소 유빗 해킹으로 큰손실
가상화폐 거래소 ‘유빗’이 해킹으로 코인 손실을 입고 파산 절차에 돌입키로 했다. 국내에서 해킹으로 인해 가상화폐 거래소가 파산 절차에 들어가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유빗은 19일 홈페이지를 통해 “금일 오전 4시35분 해킹으로 인해 코인 출금지갑에 손실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해킹에 따른 코인 손실액은 전체 자산의 약 17%로 그 외 코인은 콜드지갑(인터넷과 단절된 외부저장장치)에 보관돼 있어 추가 손실은 없었다고 회사측은 밝혔다. 그러면서 “경영진은 19일 부로 거래 중단, 입출금 정지 조치 및 파산의 절차를 진행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유빗은 이날 오후 2시를 기준으로 유빗에서 모든 코인과 현금의 입출금은 정지되고, 파산으로 인해 현금과 코인의 정산은 모든 파산 절차에 준해 진행된다고 안내했다. 유빗은 다만 피해 최소화를 위해 이날 오전 4시 기준으로 잔액의 75%는 선 출금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설명했다. 나머지 미지급된 부분에 대해선 최종 정리가 완료된 후 지급된다.
유빗은 “당사에서 가입한 사이버종합보험(30억)과 회사 운영권 매각 등 여러방안을 통해 회원들의 손실액은 17%보다 더욱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청산 결과에 따라 피해 규모가 달라지기는 하지만 거래소 해킹 사고에 따른 파산 피해를 가상화폐 투자자들이 분담해야한다고 밝힌 것이어서 투자자들의 반발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앞서 유빗의 전신인 ㈜야피안은 지난 4월 해킹으로 비트코인 3831개(당시 기준 약 55억원)을 탈취당한 뒤 투자자들에게 총 37%에 달하는 손실액을 분담하라고 공지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코인거래 활성화와 더불어 불완전한 보안시스템을 위협하는 해킹 피해는 지속되고 있다. ㈜야피안 외에도 지난 9월에는 코인이즈 거래소가 해킹당했고, 지난 6월에는 국내 최대 거래소인 빗썸에서 3만6000여명의 회원 정보가 유출되기도 했다. 국가정보원은 최근 이들 해킹이 북한의 소행인 것으로 결론 내린 바 있다. 해킹은 아니지만 지난달 12일에는 가상화폐 가격이 급등락을 반복할 때 빗썸의 서버가 다운되면서 급등락에 대응하지 못하고 손실을 본 투자자들이 빗썸을 상대로 소송을 준비하고 있다
경향비즈
'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국제 시세가 이틀째 급락 (0) | 2017.12.20 |
---|---|
비트코인캐시 70% 급등 (0) | 2017.12.20 |
대구에서도 비트코인 결제업체 등장 (0) | 2017.12.19 |
비트코인 40만달러까지 오른다? (0) | 2017.12.19 |
비트코인은 “모두 거품이다” (0) | 2017.12.19 |